한국사 종합 퀴즈 50문제
한국사 종합 퀴즈 50문제
고대 한국사 (선사시대~삼국시대)
-
한반도 최초의 국가로 알려진 고조선의 건국 시조는? a) 단군왕검 b) 주몽 c) 박혁거세 d) 김수로
-
고구려를 건국한 인물은? a) 온조 b) 주몽 c) 김알지 d) 혁거세
-
백제의 수도였던 도시가 아닌 곳은? a) 위례성(하남 위례성) b) 웅진(공주) c) 사비(부여) d) 금성(경주)
-
다음 중 신라의 골품제도에서 가장 높은 신분은? a) 1두품 b) 6두품 c) 성골 d) 진골
-
가야 연맹을 주도했던 가장 강력한 가야 소국은? a) 금관가야 b) 대가야 c) 소가야 d) 아라가야
-
고구려의 귀족회의 기구 이름은? a) 화백회의 b) 정사암회의 c) 제가회의 d) 5부회의
-
삼국시대에 전쟁에서 승리한 국가에 세워진 기념비로, 고구려의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록한 비석은? a) 단양 적성비 b) 광개토대왕비 c) 진흥왕 순수비 d) 창녕비
-
신라와 당나라의 연합군에 의해 백제가 멸망한 연도는? a) 660년 b) 668년 c) 676년 d) 698년
-
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후 당나라와 벌인 전쟁인 '매소성 전투'와 '기벌포 전투'에서 신라군을 이끈 장군은? a) 김유신 b) 김춘추 c) 이세민 d) 설인귀
-
고대 한국의 제천행사로, 고구려의 '동맹', 부여의 '영고'와 같은 성격을 가진 신라의 제천행사는? a) 팔관회 b) 가배 c) 수릿날 d) 천군제
통일신라와 고려시대
-
신라 27대 왕으로, 삼국 통일을 완성하고 신문왕에게 왕위를 물려준 왕은? a) 문무왕 b) 진덕여왕 c) 진평왕 d) 법흥왕
-
통일신라의 수도였던 경주에 있는 천문대로,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천문대로 알려진 것은? a) 첨성대 b) 석굴암 c) 황룡사 d) 분황사
-
고려를 건국한 인물은? a) 견훤 b) 궁예 c) 왕건 d) 경순왕
-
고려시대 무신정변이 일어난 연도는? a) 1126년 b) 1135년 c) 1170년 d) 1196년
-
고려시대 몽골의 침입에 맞서 항전하기 위해 강화도로 천도한 왕은? a) 의종 b) 고종 c) 원종 d) 충렬왕
-
고려시대 쌍기의 건의로 시행된 제도로, 과거 응시자격을 양반 자제로 제한하고 유교 경전을 시험 과목으로 한 것은? a) 과거제 b) 골품제 c) 음서제 d) 공음전
-
고려시대 최초로 금속활자로 인쇄한 책은? a) 무구정광대다라니경 b) 직지심체요절 c) 삼국유사 d) 삼국사기
-
고려 광종 때 시행된 제도로, 노비의 신분을 해방시켜 준 제도는? a) 과거제 b) 노비안검법 c) 공음전 d) 전시과
-
고려와 조선 시대에 지방 행정을 담당했던 관리로, 수령이라고도 불린 사람은? a) 관찰사 b) 암행어사 c) 향리 d) 외관
-
고려 말 이성계와 함께 조선 건국의 주역으로, 정도전, 남은, 조준 등과 함께 개혁정치를 주도한 인물은? a) 정몽주 b) 최영 c) 이인임 d) 하륜
조선 전기
-
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가 수도로 정한 곳은? a) 개성 b) 평양 c) 한양 d) 부여
-
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한 연도는? a) 1443년 b) 1446년 c) 1450년 d) 1455년
-
조선시대 임금의 명령과 국정에 관한 내용을 기록한 국가 공식 기록물은? a) 승정원일기 b) 조선왕조실록 c) 일성록 d) 비변사등록
-
조선시대 왕의 시호가 아닌 것은? a) 세종 b) 정조 c) 순조 d) 효종
-
조선시대 3대 과거시험이 아닌 것은? a) 소과 b) 문과 c) 무과 d) 잡과
-
임진왜란 당시 한산도 대첩을 승리로 이끈 조선의 명장은? a) 이순신 b) 권율 c) 김시민 d) 원균
-
조선시대 사림파가 중앙 정계에 본격적으로 진출하는 계기가 된 사건은? a) 무오사화 b) 기묘사화 c) 을사사화 d) 정묘호란
-
임진왜란 직후 일본과 국교를 재개하고 평화 협상을 통해 맺은 조약은? a) 강화도 조약 b) 기유약조 c) 을사조약 d) 조일수호조약
-
북방 민족인 여진족이 세운 후금(청)과의 전쟁으로, 인조 때 일어난 두 차례의 호란 중 먼저 일어난 것은? a) 병자호란 b) 정묘호란 c) 임진왜란 d) 기해왜란
-
조선 후기 실학자 중 "북학의"를 저술하고 청나라 문물 수용을 주장한 인물은? a) 정약용 b) 박지원 c) 박제가 d) 유수원
조선 후기와 개항기
-
조선 후기 농업에서 모내기법이라고도 불리는 농법은? a) 견종법 b) 이앙법 c) 휴경법 d) 윤작법
-
조선 후기 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한 민란으로, "만민이 평등하다"는 사상을 담은 민란은? a) 임술농민봉기 b) 동학농민운동 c) 홍경래의 난 d) 이인좌의 난
-
1876년 일본과 맺은 불평등 조약으로, 한국 최초의 근대적 조약은? a) 강화도 조약 b) 제물포 조약 c) 을사조약 d) 한일병합조약
-
조선 후기 상공업의 발달과 함께 등장한 민간 상인 조직은? a) 시전 b) 보부상 c) 송상 d) 만상
-
1894년 동학농민운동 과정에서 전봉준이 농민군을 이끌고 전주성을 점령한 후 제시한 개혁안은? a) 폐정개혁안 b) 동학혁명안 c) 농민개혁안 d) 전라도개혁안
-
1896년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한 사건은? a) 아관파천 b) 기해척사운동 c) 경복궁 습격 사건 d) 을미사변
-
갑신정변을 주도했던 급진 개화파 인물이 아닌 사람은? a) 김옥균 b) 박영효 c) 서재필 d) 최익현
-
1897년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에서 경운궁으로 환궁한 후 선포한 국호는? a) 대한제국 b) 대조선 c) 한성 d) 조선제국
-
을사조약이 체결된 연도는? a) 1895년 b) 1900년 c) 1905년 d) 1910년
-
대한제국 시기 고종의 친정체제를 뒷받침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는? a) 군국기무처 b) 중추원 c) 의정부 d) 원수부
일제강점기와 현대
-
1919년 3·1 운동 이후 상하이에 수립된 임시정부의 초대 대통령은? a) 이승만 b) 김구 c) 안창호 d) 윤봉길
-
1929년 광주에서 시작되어 전국으로 확산된 항일 학생운동은? a) 6·10 만세운동 b) 광주학생항일운동 c) 브나로드 운동 d) 신간회 운동
-
일제 강점기 민족 말살 정책이 시행된 시기는? a) 무단통치기 b) 문화통치기 c) 민족말살통치기 d) 개화기
-
다음 중 항일 무장 독립운동 단체가 아닌 것은? a) 의열단 b) 한인애국단 c) 조선의용대 d) 신간회
-
1945년 8월 15일 광복 이후 남한에 설립된 미군정의 공식 명칭은? a) 주한미군사령부 b) 미군정청 c) 미군사정부 d) 미국 군정청 한국 민정청
-
1950년 한국전쟁 당시 인천상륙작전을 지휘한 유엔군 사령관은? a) 맥아더 b) 워커 c) 리지웨이 d) 클라크
-
1960년 4·19 혁명으로 무너진 정부는? a) 이승만 정부 b) 장면 정부 c) 박정희 정부 d) 최규하 정부
-
1972년 남북한이 발표한 공동성명으로, 자주, 평화, 민족대단결의 통일 3대 원칙을 담은 것은? a) 7·4 남북공동성명 b) 남북기본합의서 c) 6·15 남북공동선언 d) 10·4 선언
-
1997년 외환위기로 한국 경제가 IMF의 구제금융을 받게 된 사건을 흔히 무엇이라고 부르는가? a) IMF 사태 b) 외환 위기 c) 금융 위기 d) 아시아 금융 위기
-
2000년 6월 열린, 분단 이후 최초의 남북 정상회담에 참석한 남북한 정상은? a) 김영삼-김정일 b) 김대중-김정일 c) 노무현-김정일 d) 이명박-김정은
정답
고대 한국사 (선사시대~삼국시대)
- a) 단군왕검
- b) 주몽
- d) 금성(경주) - 경주는 신라의 수도
- c) 성골
- a) 금관가야
- c) 제가회의
- b) 광개토대왕비
- a) 660년
- a) 김유신
- c) 수릿날
통일신라와 고려시대
- a) 문무왕
- a) 첨성대
- c) 왕건
- c) 1170년
- b) 고종
- a) 과거제
- b) 직지심체요절
- b) 노비안검법
- d) 외관
- d) 하륜
조선 전기
- c) 한양
- a) 1443년
- b) 조선왕조실록
- c) 순조 - 순조는 시호가 아닌 묘호
- a) 소과 - 소과는 과거의 예비시험인 생원시와 진사시를 합쳐 부르는 말
- a) 이순신
- b) 기묘사화
- b) 기유약조
- b) 정묘호란
- c) 박제가
조선 후기와 개항기
- b) 이앙법
- b) 동학농민운동
- a) 강화도 조약
- b) 보부상
- a) 폐정개혁안
- a) 아관파천
- d) 최익현
- a) 대한제국
- c) 1905년
- d) 원수부
일제강점기와 현대
- a) 이승만
- b) 광주학생항일운동
- c) 민족말살통치기
- d) 신간회
- b) 미군정청
- a) 맥아더
- a) 이승만 정부
- a) 7·4 남북공동성명
- a) IMF 사태
- b) 김대중-김정일
댓글
댓글 쓰기